레이블이 Footbal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Footbal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12/22/2011

2011-12 A-League R12 Sydney v Adelaide

사실 그 동안 블로그에 소홀 했던 데에는, 미친 연말/연초 스케쥴과 더불어 연초에 좀 정신을 놓고 있었던 감이 크다.

다시 돌아와서 이제 2011년 12월 22일! 꿈만 같은 크리스마스 휴가 시작일이다. 이 날은 초긴장 상태로 업무를 마치고 나서는 재빨리 6시가 되자마자 열차에 몸을 싣고 센트럴로 향했다. 그리고 센트럴에서 Elizabeth st./Chalmers st. 방향으로 나와 기다리고 있던 친구들을 만났다.

A가 바로 KB Hotel이다.


이 친구들을 만나 Foveaux st.을 따라 주욱 올라가면 Riley st. 과 만나는 지점에 KB Hotel이 있는데 이 곳의 1층 펍이 바로 경기 전 시드니 팬들의 아지트. 이 곳에서 간단히 한 잔씩 하고 얘기를 나누다가 그대로 Foveaux st. 을 따라 올라간다.


사진상에 South Dowling st.와 Anzac Parade 사이의
나무 표시가 된 곳에는 항상 태극기와 호주 국기가 휘날리고 있다.
한국 전쟁에 참여한 호주/뉴질랜드 군(ANZAC)을 기리는 공원이기 때문이다.



사거리를 지나면 이상하게 이름이 바뀐다. Fitzroy st. 을 따라 내려가면 나름 큰 도로가 하나 나오는데 여기도 3번에 걸쳐 신호를 받고 지나가면 바로 나오는 무어 파크. 이 곳이 바로 시드니의 홈 구장인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Sydney Football Stadium)이다. 줄여서 SFS라고 부르는 이 곳의 앞에는 공교롭게도 럭비 리그(Rugby League) 사무실이 들어설 예정이고 한참 공사중에 있다.


무어 파크에 들어서면 다음과 같은 풍경에 직면하게 된다.
모두가 경기장으로 향하는 아름다운 모습.


왼쪽 건물이 아까 말한 럭비 리그 사무실.
그 오른 편으로 시드니 FC 물품 판매 트럭이 있고 그 옆으로 들어가면 된다.


생각보다 스타디움이 너무 컸다. 아무리 A-리그 최고 인기 팀 중 하나라지만 이건 거의 뭐 월드컵 구장 급이다. 그래도 침착하게 왼편으로 돌아가 Gate C로 입장(보통 골대 뒤 홈 좌석은 Gate C로 입장하면 된다)하고 나니..


어두워서 좀 흔들렸다. 왼쪽 계단에 'Bay 20 to 23' 라고 써 있는데,
흔히들 코브(Cove)라고 부르는 시드니 응원석이 바로 Bay 23다.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참 아늑한 동네가 나온다.


이것이 바로 코브(Cove).


사실 코브는 침식이 일어나 구불구불해진 해안선을 가리키는 말로, 시드니 가운데 떡하니 커다란 만이 생긴 것도 바로 그 코브라고 부른다. 서포터 석의 이름을 코브라고 부른다는 것 자체가 시드니의 도시 정체성에 크게 영향받은 것이다.


솔직히 시야는 딱히 기대할 수 없었다. 경사가 낮아서..

코브 양 옆에는 이렇게 날개가 달려 있어 여기서 보면 잘 보인다.
그러나 한 번도 앉아서 경기를 보진 못했다.

코브 뒤에는 이렇게 지붕이 달려 있는 넓직한 공간이 있어
이곳에서 서서 경기를 보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 날은 크리스마스를 앞두고라서 그런지 축제의 분위기가 났다.

가운데 보면 저 사람은 선물 박스 코스튬을 입고 왔다.

하프 타임에 올라가 위에서 찍었다. 확실히 시야가 괜찮다.

위층 좌석은 확실히 다르구나..

아까 본 지붕 안 쪽의 바.

이 아저씨 계속 쑈한다.

경기 중 같은 팬 끼리도 술 먹고 시비가 붙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면 스튜어드가 바로 출동해서 문제 원인 제공자를 바로 잡아간다.

돌아가는 길. 리그 최하위 팀과 2-2로 비기고 나면 기분이 뭐같다.

결국 이 날 건진 건 머플러. 이마저도 22달러 줬다. 거의 24000원 준 셈.
이것도 25달러 짜리를 시드니 3 Game Pack 멤버 할인으로 10% 깎은 것이다.
시드니 3 Game Pack 멤버는 정말 제대로 시즌권 경험 해보게 해준다.

이렇게 아쉬운 경기를 뒤로 하고 빨리 돌아와 잤던 이유는, 다음 날 바로 대망의 멜버른 더비를 위해서 멜버른으로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보면 알겠지만 참.. 페트라토스 멋진 골이 그나마 볼 만 했다.

아쉬운 나의 SFS Debut 경기였다.


12/20/2011

A-리그 어플리케이션

근래 A-리그를 보게 되면서 A-리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일이 잦아졌다. A-리그 어플리케이션은 주관 방송사인 폭스 스포츠(Fox Sports)가 만든 것으로 상당히 잘 만들었기에 이를 K-리그 어플리케이션이 따라잡을 수 있으면 좋겠다.


매치데이 화면. 그다지 특별할 건 없다.


날씨까지 상세하게 나와 있다.
근래 5경기 전적 및 현 순위가 나와 있는 것이 포인트.

Form을 잘못 만든건지는 몰라도 Worm을 누르면
시간 변화에 따른 양 팀의 골득실 차이가 나온다.
그 밑에는 간략한 타임라인.

다양한 수치.

요건 내 팀 설정해 놓은 시드니 FC 화면.
항상 순위 / 최근 5경기 폼은 기본이고,
선수 리스트 및 공식 트위터 계정 트윗까지 볼 수 있게 연결해놨다.

중요한 것. 세팅 가면, 자신의 팀 일정을 애플 달력에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이거 생각보다 매우 중요하다.

K-리그도 나름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일단 해놓고 봤던 거 같은데, 완성도가 상당히 떨어져 아쉬웠었다. 위에서 언급한 부분도 더 나은 서비스 제공에 상당히 도움이 될 거 같으니 K-리그 어플리케이션이 이보다 더 좋게 나오길 바랄 뿐이다.

12/16/2011

Central Coast Mariners : a team around Griffiths

센트럴 코스트는 상당히 조직적인 팀이다. 팀에 내세울 스타가 거의 없으며, 클럽의 모토가 지역 사회에 밀착하기인만큼 외국인 선수도 그동안 상당히 적었다. ('센트럴 코스트 마리너스의 돌풍에 대해' 참조) 그런 그들이 2011년 12월 18일 현재 A-리그 정상을 달리고 있다.

초반에 브리즈번 로어가 패싱 축구를 앞세워 공격적인 모습으로 K-리그 전북의 닥공 축구와 비슷한 '로어셀로나'라는 별명으로 화려하게 장식되는 사이, 센트럴 코스트는 꾸준히 성적을 내며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홈 경기장에서는 계속 지지 않으면서 무패 행진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단단한 모습의 바탕에는 강력한 미드필드가 있었다. 브리즈번 로어도 중앙 미드필더가 부상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면서 시드니에게 패한 이후 현재 4연패를 당하고 있을 정도로 A-리그에서는 중앙 미드필더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 (대체 자원이 부족하다는 말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아래 모습들은 뉴카슬 제츠와의 F3 더비 이후에 폭스 스포츠에서 분석을 해 준 내용이다. 2012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성남의 상대팀인 만큼 다음 하이라이트에서도 분석이 있다면 캡쳐해 올릴 예정이다.

현재 CCM의 허리를 책임지는 중앙 미드필더인 8번 로스틴 그리피스(Rostyn Griffith)는 이번 센트럴 코스트 돌풍의 주역 중 한 명이다.

네 명의 수비 앞에 위치한 그리피스는 보통 수비적인 위치에서 움직인다.
공격 미드필더인 아미니를 비롯해 4명이 유기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이 때 뒤에서 빈 공간을 메꾸어 주는 것이 그리피스.

동시에 중앙 수비수들과도 협력 관계에 있어, 수비 시에는 적극적으로 빈 공간을 메꾼다.

상대방이 측면으로 공을 전개시킬 때에는, 직접 앞으로 나가서 견제를 한다.

화면에서도 보면 알 수 있지만, 상대방이 한시라도 편하게 공을 잡지 못하게 하는 것이 그의 임무다.


위 두 사진처럼, 역습 때 상대방이 볼을 전개시키려고 공을 끌고 나오면,
그리피스가 달라붙어 쉽사리 공을 전개시키지 못하게 막는다.



중앙 수비수가 역습 시에 발이 느려 공을 처리하지 못하거나,
하프라인 부근에서 공중 볼을 경합하느라 뒷 공간을 내줄 경우 ,
그 공간을 채우는 것은 바로 그리피스.

상당히 핵심적인 선수로, 만약에 성남이 완벽하게 경기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그리피스가 힘을 쓰지 못하도록 여러 명의 미드필더를 동시에 전진시키거나 공격수가 내려와서 측면에서 전개 후 들어갈 수 있어야 할 듯 싶다.

만약 공격 전개가 늦어진다면, 센트럴 코스트 수비수들은 모두 페널티 박스 안으로 들어올 것이기 때문에, 빠른 역습 전개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패스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한 데, 이는 공을 뺏기자마자 바로 역습을 전개하는 것이 CCM의 특기이기 때문이다.

수비 라인은 낮게 유지하고, 점유율을 높게 가져가면서 간간히 역습을 바탕으로 하는 팀을 만나면 고전할 수 있는 것이 CCM의 축구일 것이다.

12/12/2011

Sydney FC 3 Game Pack.

Sydney FC 3 games pack - 구성은 가운데 카드+스트랩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스티커, 유니폼 마그넷 그리고 간단한 머플러

시드니 FC의 3게임 팩이 AUD 50이길래 게임 하나씩 AUD 20 내느니 하나 사기로 했다. 게다가 스카프랑 스트랩, 개인화된 시즌 티켓에 스티커, 마그넷을 준다는 얘기에 어차피 돈 낼꺼 미리 내자고 하고 샀다.

결론 적으로 나쁘진 않았는데,

일단 시드니 FC의 시즌 멤버쉽 서비스를 그대로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게 장점이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지정좌석제인 골대 뒤를 골라서 보면 각 섹션별로 경기장이 어떻게 보이는지 미리 사진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경기장 맵에서 자신의 좌석을 골라 직접 선택하면 그 곳이 나의 지정 좌석이 된다. 만약 풀 시즌 티켓이라면 시즌 내내 내가 앉는 자리로 고정 되어 버리는 것.

사진에 나온 스트랩에 달린 플라스틱 카드도 이름, 앉는 자리 어딘지 찍혀 있고 맨 밑에 바코드가 있었다. (A-리그는 많은 구장에서 바코드를 찍고 나서 들어가게 한다. 수원처럼 사람이 하는 게 아니라 기계에 바코드를 인식시켜야 들어갈 수 있다.)

솔직히 가지고 다니면 좀 싸보이는 실크 스카프이다.
이렇게 그냥 걸어놓기만 하기로 했다.

안 좋았던 것은 역시나 스카프의 품질.
그리고 어느 호주 택배가 그렇듯 느린 배송.
결정적으로 가격이.. AUD 50이라서 샀는데 수수료(Transaction fee)가 AUD 10! 총 AUD 60!
그래도 이건 나중에 현장에서 줄 서서 사야 하는 수고를 없앴다고 보면 되니까..
뭐 그 외에는 달리 기대할 게 없었던 지라 딱히 나쁘다고 할 건 없었다.
(수원이랑 똑같이 축구수도 운운해서 기분나쁘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이제 어쩌면 다음 6개월 간은 나름 로컬 팀인데,
찾아다니면서 응원할 수 있을 땐 응원해 주고 싶다.

A-League 2011 04.Dec.2011 Sydney FC v Brisbane Roar 중계 화면 중.

내가 찍은 사진. 사람이 바글바글했지만 놀랍게도 15,000명을 넘기지도 못 했다.

이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모르겠지만,
첫 경기를 클럽 역사상 단 한번도 경기를 치루지 않았던,
코가라 오발(Kogarah Oval;WIN Jubilee Oval of Carlton-보통 럭비 경기함)에서 보고
또한 TV 화면에 고스란히 나왔으니. 나름 재미있는 기억이다.